2020. 2. 2. 03:09ㆍ일기
쇼니치(初日): 첫 공연
오라스(オーラス): 마지막 공연
센슈락(千秋楽): 마지막 공연. 라쿠비(楽日)라고도 함
(Q. 오라스랑 센슈락이랑 뭐가 다른가요? A. 투어를 한다고 칠 때 도쿄4일-오사카4일-후쿠오카2일이라면 투어 전체의 마지막 공연은 '센슈락'이라고 하고, 도쿄의 마지막 공연은 '도쿄 오라스'. 오사카의 마지막 공연은 '오사카 오라스' 등으로 부름. 이 경우에 '도쿄 센슈락'은 안 되고, '후쿠오카 센슈락' 같은 경우는 가능. 오라스가 더 작은 단위. 아무것도 안 붙이고 '오라스'라고 하면 보통 센슈락이랑 같은 뜻.)
원맨(ワンマン): 단독 공연
타이반(対バン): 합동 공연(보통 주최자와 다른 아티스트 둘이서만 합동으로 공연함)
토리/오오토리(取(り)/大取(り)): 마지막 공연을 하는 아티스트. 후자는 홍백같은데서나 쓰고 보통은 토리 함
게네프로(ゲネプロ): 총 리허설. 실제 무대와 똑같은 세팅, 구성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하는 리허설. 게네라고도 함
하코(箱): 공연장
캬파(キャパ): capacity. 공연장의 수용량을 의미 (캬파가 13000명인 하코 = 13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연장)
로죠(路上): 로죠라이브(길거리 공연), 로죠이벤트(길거리 이벤트).
리리이베(リリイベ): 릴리즈 이벤트. 보통 타워레코드 같은 데서 공간내서 함.
데지마(出島): 돌출 무대(서브 스테이지)
하나미치(花道): 무대에서 객석으로 가는 통로(보통 데지마랑 연결)
PA: 음향 관계자들이 있는 장소. PA석을 판다고 하면 기재 주변에 있는 자리를 판매하는 것. 보통 시야가 좋지 않음
가쿠야(楽屋): 대기실
카미테/시모테(上手/下手): 관객석에서 무대를 바라봤을 때 오른쪽이 카미테, 왼쪽이 시모테.
츠라/오쿠(面/奥): 무대 앞을 츠라, 뒤를 오쿠라고 함.
만인온레(満員御礼): 모든 공연이 매진되어 감사함을 표현할 때 쓰는 말(보통 주최자가 사용)
카이죠(会場): 공연장. 하코는 '건물'에 대해 말할 때 쓰고 회장은 '라이브'에 대해 말할 때 씀
(ex. 이 하코는 빌리기 힘든 곳이래. / 작은 하코라 티켓 사기 힘들었어.
회장에는 언제 도착하세요? / 회장에서 만나요. )
내가 써놨지만 이해 안될것같음;
산센(参戦): 라이브에 참가하는 것
젠츠(全通): 이벤트/투어의 모든 일정에 참석하는 것 (하루~이틀 정도로는 젠츠라고 안 함)
굿즈(グッズ): MD
붓판(物販): 굿즈 판매 (혹은 판매 장소)
크로크(クローク): 짐을 일시적으로 맡아 주는 장소. 돈 내야함 보통 500엔
엔세이(遠征): 공연을 보러 멀리까지 가는 것. 보통 신칸센~비행기 타야 할 정도 되면 원정이라고 하는데 옆 현 가는데도 원정이라는 말을 쓰는 놈팽이들이 있으니 말세다.
사이젠(最前): 맨 앞줄. 최전열(最前列).
아레나(アリーナ): 보통 한국 콘서트의 '스탠딩'이라고 불리는 거기. 일본 콘서트는 거의 의자깔려있음
스탠드(スタンド): 보통 한국 콘서트의 '좌석'이라고 불리는 거기.
카미세키(神席): 개-꿀 갓-좌석. 보통 가까우면 카미세키지만 이런저런 요인에 의해(팬서비스가 훌륭했다거나, 자리번호 추첨 이벤트에 당첨됐다거나) 카미세키가 되는 경우도 있음.
텐죠세키(天井席): 천당석. 천장에 가까워서 성불해버릴 것만 같은 그 자리.
바이리츠(倍率): 티켓을 추첨제로 팔 경우, 그 경쟁률.
토센(当選): 티켓 당첨됐다~!
라쿠센(落選): 티켓 떨어졌다~!
토센마츠리/라쿠센마츠리(当選祭り/落選祭り): 당첨축제 낙선축제. 당첨이 많은 경우에는 하코를 너무 큰 곳으로 잡았다는 뜻이고 낙선이 많은 경우에는 경쟁률이 세다는 뜻.
완코인(ワンコイン):
1. 원코인(500엔)만으로 참석할 수 있는 이벤트.
2. 인기 떡락해서 티켓 500엔으로도 살 수 있겠다ㅎ는 뜻. 보통 투어 돌다가 중간에 스캔들 터지면 이렇게 됨.
유명 하코
코쿠리츠(国立) 정식명칭은 국립경기장. 지금은 새로 지어서 신국립
도쿄 돔(東京ドーム) 도쿄돔이야 다들 알겠지만 도쿄돔 말고 옆에 '도쿄돔 시티 홀'이라고 있는데 3천명 정도 들어가는 홀임. 근데 여기도 은근 채우기 어려움.
쿄세라 돔(京セラドーム) 통칭 쿄세라.
나고야 돔(ナゴヤドーム) 통칭 나고도.
야후오쿠 돔(ヤフオクドーム) 통칭 야후오쿠. 옛날 명칭은 후쿠오카 돔.
삿포로 돔(札幌ドーム) 여기까지 5대 돔. 삿포로가 제일 채우기 어려워서(홋카이도라 접근성이 구리기 때문에 거의 홋카이도 사람으로 채워야 하는데 그게 힘듦) 보통 위의 4돔으로 돔투어 함.
세이부 돔(西武ドーム) 6대 돔....이라고는 하는데 세이부는 보통 돔으로 잘 안쳐줌.
돔투어는 적어도 도쿄, 쿄세라 포함하고(보통 여기가 제일 채우기 쉬우므로) 나고야or야후오쿠 하나 껴서 3대 돔은 돌아야 돔투어라고 쳐줌. 도쿄/쿄세라만 돌고 돔투어라고 하는 경우도 있긴 있는데... 흠티콘
마쿠하리 멧세(幕張メッセ) 통칭 멧세. 여기 옆에 마쿠하리 이벤트홀 있는데 거긴 작은데임.
사이타마 스파아리나(さいたまスーパーアリーナ): 통칭 SSA. 애니옦딲꾸들 많은곳
요코하마 아레나(横浜アリーナ) 통칭 요코아리.
요요기 다이이치타이이쿠칸(代々木第一体育館): 요요기 제1체육관. 통칭 요요기(체육관).
오사카죠홀(大阪城ホール): 여긴 웃겨서 넣은건데 이름은 '홀'인데 캬파는 아레나라 다들 아레나취급해줌
닛폰가이시홀(日本ガイシホール): 나고야에 있는 홀인데 캬파는 아레나22
부도칸(武道館) 여기서 원맨 하면 그럭저럭 이름 알렸다 수준.
Zepp 시리즈: 홀 투어 한다고 하면 보통 여기. 2천명 정도.
O 시리즈: o-east, o-west, o-nest 등등 시부야에 있는 하코. east가 1000명 정도고 west가 500명 정도 nest가 200명 정도
그외 쿼트로나 악스같은곳도 있지만 고것은 지하돌이나 쌉마이너 밴드를 파는 분들에게나 해당하는 이야기겠고 그런 분들은 일본어를 할 수 있겠지요? (하코이름) 캬파 등의 키워드로 찾아보십시오.